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7

신규 간호사를 위한 ABGA 해석법과 실전 적용 혈액 가스 검사, 즉 ABGA(Arterial Blood Gas Analysis)는 중환자실이나 응급상황에서 빠르게 환자의 산소, 이산화탄소, pH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진단 도구입니다. 신체의 산-염기 균형, 환기 상태, 대사 기능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호흡기 환자나 대사성 이상 환자에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신규 간호사라면 ABGA 결과를 빠르게 해석하고, 그에 맞는 간호중재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ABGA 결과 해석의 기본 원리와 실제 적용 방법을 정리합니다.ABGA 결과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ABGA 결과는 크게 pH, PaCO2, HCO3 세 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해석합니다.- pH (정상범위 7.35~7.45): 산-염기 상태의 중심값- PaCO2 (정상.. 2025. 7. 14.
PPI 프로톤펌프억제제 작용기전과 복용법 총정리 PPI(프로톤펌프억제제)는 위산 분비를 강력하게 억제하는 약물로, 위식도역류질환(GERD), 위염, 위궤양,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등 다양한 위장 질환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PPI는 위벽의 벽세포에 작용해 위산 생성을 차단함으로써 증상을 완화시키고, 위 점막 치유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장기 복용 시 주의할 점도 많아 정확한 기전과 사용 대상, 복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PPI 약물 종류와 기전은?PPI는 위산 생성의 마지막 단계인 위벽세포의 H⁺/K⁺ ATPase(프로톤펌프)를 직접 차단하여 위산 분비를 억제합니다. 이 효소는 위산 분비의 최종 관문이기 때문에 억제 효과가 강력하고 지속적입니다. 대표적인 PPI 약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메프라졸(Omeprazole)- 에소메프라졸(Esom.. 2025. 7. 13.
DM study 검사 전 준비사항과 절차 총정리 DM study는 당뇨병(Diabetes Mellitus)의 진단 또는 치료 반응 평가를 위한 검사로, 공복 혈당과 식후 혈당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특히 병원에서는 경구 혈당강하제(당뇨약) 복용 여부, 식이 조절, 인슐린 투여 등과 관련된 조건을 정확히 맞춰야 검사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DM study 검사 절차와 사전 준비 사항에 대해 정리합니다.DM study 검사 전 준비 사항은 무엇인가요DM study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검사 전 최소 10시간 동안 금식(NPO)이 필요합니다. 물은 소량 허용되지만, 음식과 모든 경구 약물은 금지해야 합니다. 특히 당뇨병 환자의 경우 경구 당뇨약(PO약)과 인슐린 주사를 포함한 모든 혈당강하제는 검사 당일 아침 복용 또는.. 2025. 7. 12.
HBsAg와 HBsAb 차이 완벽 정리 및 검사 결과 해석 가이드 B형 간염은 전 세계적으로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감염성 질환으로, 바이러스 보유 여부와 감염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혈청학적 마커가 사용됩니다. 그 중에서도 HBsAg, HBsAb, HBeAg, HBeAb는 감염 유무, 면역 상태, 전파력 등을 구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 글에서는 HBsAg와 HBsAb를 중심으로, 각각의 결과가 의미하는 바를 정리하고 B형 간염 보균자의 감염력까지 함께 설명합니다. HBsAg 양성은 현재 감염을 의미합니다HBsAg는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표면항원으로, 혈액 내에서 이 항원이 검출되면 현재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HBsAg가 양성(positive)일 경우 바이러스의 증식과 방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며, 감염 초기부터.. 2025. 7. 11.
심부전 환자를 위한 Digoxin 작용기전과 digitalization 과정 정리 디곡신(digoxin)은 심부전과 특정 부정맥 치료에 사용되는 강심제입니다. 특히 심박수 조절이 필요한 환자나 심방세동을 동반한 심부전 환자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며, 치료 초기에는 디지털리제이션(digitalization)을 통해 혈중 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핵심입니다. 디곡신은 세포 내 이온 농도 조절을 통해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방실결절(AV node) 억제를 통해 심박수를 조절하는 작용기전을 가집니다. 디곡신의 작용 기전과 심혈관계 효과디곡신은 세포막의 Na K ATPase를 억제하여 세포 내 나트륨 농도를 증가시키고, 그 결과 세포 내 칼슘 유출을 억제합니다. 칼슘이 세포 내에 유지되면 심근세포의 수축력이 향상되어 심박출량 증가에 기여합니다. 또한, 방실결절 전도 억제 효과를 통해.. 2025. 7. 10.
부신기능 저하 확인하는 방법 Synacthen 검사 이해하기 코르티솔(cortisol) 검사는 부신 기능 이상, 특히 부신기능 저하증을 진단하기 위해 실시되는 중요한 호르몬 검사입니다. 코르티솔은 부신피질에서 생성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스트레스 대응과 대사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이를 조절하는 뇌하수체 호르몬인 ACTH(부신피질 자극 호르몬)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집니다. 코르티솔 검사는 기본 혈액검사뿐 아니라 자극 검사(Synacthen test)를 함께 시행하여 부신의 반응성을 평가하기도 합니다.코르티솔 검사란 무엇이고 왜 시행하나요코르티솔은 체내에서 다양한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 중요한 호르몬입니다. 혈압 유지, 수분 및 전해질 균형 조절,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생리적 대응, 조혈 기능 촉진(적혈구와 혈소판 생성 자극), 단백질 및 포도당 대사, .. 2025. 7.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