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I/O 완벽정리: 체액균형 간호 실무 가이드

by 우당탕천백이 2025. 6. 8.
반응형

섭취 관련 사진

I/O(섭취·배설량)는 환자의 수분·전해질 균형, 신장 및 심혈관 기능,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데 필수적인 간호 지표입니다. 신규간호사는 I/O의 정의, 측정 방법, 기록, 임상적 해석, 이상 발견 시 대처법, 환자·보호자 교육까지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I/O의 기본 개념부터 실제 임상 적용법, 실무 체크리스트, 기록과 보고의 포인트까지 체계적으로 안내합니다.

I/O, 왜 체계적 관리와 정확한 기록이 중요한가?

I/O(섭취·배설량, Intake/Output)는 환자의 체액·전해질 균형, 신장 및 심혈관 기능,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데 가장 기본이 되는 간호 지표입니다. I/O 관리는 수액요법, 이뇨제, 신부전, 심부전, 수술 전후, 중환자 등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필수적으로 시행됩니다. 섭취량에는 경구 섭취(물, 음료, 음식), 정맥 수액, 영양수액, 약물 주입 등이 포함되며, 배설량에는 소변, 대변, 구토, 배액(드레인, 흉관, 위관 등), 출혈, 발한 등이 포함됩니다. 정확한 I/O 측정과 기록은 탈수, 체액 과다, 전해질 불균형, 신장 및 심혈관 기능 저하 등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한 중재와 치료 계획 수립에 결정적 역할을 합니다. 신규간호사는 I/O의 정의, 측정 방법, 기록, 임상적 해석, 이상 발견 시 대처법, 환자·보호자 교육까지 전 과정을 숙지하고, 반복적으로 실무에 적용해야 합니다. I/O 관리는 단순한 수치 기록이 아니라, 환자 안전과 치료 효과, 예후 개선을 위한 핵심 간호임을 반드시 인식해야 합니다.

 

I/O(섭취·배설량) 측정, 기록, 임상 적용법

1. I/O의 정의와 구성
- 섭취량(Intake): 경구 섭취(물, 음료, 음식), 정맥 수액, 영양수액, 약물 주입, 혈액제제 등
- 배설량(Output): 소변, 대변, 구토, 위관·드레인·흉관 배액, 출혈, 발한 등

2. I/O 측정 방법 섭취량: 물컵, 주전자, 수액백, 주사기 등 용량 단위(ml)로 정확히 측정

배설량: 도뇨백, 변기, 배액백, 드레인·위관·흉관 배액량, 구토물 등 모두 ml 단위로 측정

특수 상황: 발한, 상처 삼출, 출혈 등은 추정치로 기록(가능한 한 정확히)

24시간 누적: I/O는 보통 24시간 단위로 합산, 중환자·수술환자는 1~2시간 단위로도 기록

 

3. I/O 기록과 보고 간호기록지: 시간대별, 종류별(경구, 수액, 소변, 배액 등)로 구분해 정확히 기록

이상 발견 시: 섭취량 과다/부족, 배설량 급감/증가, 색·냄새·성상 변화, 드레인 막힘 등 즉시 의료진 보고

총 섭취량-총 배설량=체액 균형: 양수(섭취>배설, 체액 과다), 음수(섭취<배설, 탈수) 여부 확인

특이사항: 구토, 설사, 출혈, 발한 등은 별도 기록, 원인과 중재 내용도 함께 남김

 

4. 임상적 해석과 간호중재 체액 과다: 부종, 호흡곤란, 고혈압, 체중 증가, 폐부종 등. 수액 제한, 이뇨제, 체중·활력징후 모니터링

탈수: 구강 건조, 저혈압, 빈맥, 피부 탄력 저하, 체중 감소. 수분 공급, 원인 교정, 활력징후 모니터링

신장·심혈관 기능 저하: 소변량 감소, 체액 저류, 전해질 불균형 등. 신속한 보고와 추가 검사·치료

배설량 급감/증가, 색·냄새 변화: 요로감염, 출혈, 폐색, 신기능 저하, 소화기 출혈 등 의심, 즉시 보고

 

5. 환자·보호자 교육 I/O의 중요성, 정확한 측정·기록 방법, 배설량·색·냄새 변화 시 즉시 알릴 것 수분 제한·공급, 식이, 약물 복용 등 치료 계획과 연계한 교육 자가 관리가 필요한 경우(가정간호, 투석, 심부전 등) 체크리스트 제공

 

I/O 관리, 신규간호사의 기본 역량

I/O(섭취·배설량) 관리는 환자 체액·전해질 균형, 신장·심혈관 기능, 치료 효과 평가의 핵심입니다. 신규간호사는 I/O의 정의, 측정·기록·해석·보고, 환자·보호자 교육까지 전 과정을 꼼꼼히 실천해야 하며, 반복 학습과 실무 경험을 통해 I/O 관리 역량을 키워야 합니다. I/O 실무 포인트를 숙지하고, 환자 안전과 예후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실천한다면, 신규간호사도 자신감 있게 전문성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