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ETCO2란 무엇인가 정상 수치와 해석 방법

by 우당탕천백이 2025. 7. 16.
반응형

Photos related to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ETCO2는 End-Tidal Carbon Dioxide의 약자로, 한 호흡 주기 말에 호기된 공기에서 측정되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기도 삽관이 되어 있는 환자나 수술 중 환자의 호흡 상태와 대사 상태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ETCO2는 호흡기계와 순환기계 기능을 동시에 반영하는 민감한 지표이며,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환자의 상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 중환자실, 응급실, 수술실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반응형

ETCO2 수치의 정상 범위와 해석 방법

정상적인 ETCO2 수치는 일반적으로 35~45 mmHg 범위에 해당하며, 이는 체내 CO2 대사와 폐를 통한 배출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ETCO2가 35 mmHg 이하인 경우: 과환기, 저체온증, 폐색전증, 심정지 가능성

- ETCO2가 45 mmHg 이상인 경우: 저환기, 기도 폐쇄, 호흡억제, 대사성 산증 보상 반응

ETCO2는 직접적인 동맥혈 CO2(PaCO2)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환자의 상태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데 유용하며 특히 호흡기계 기능 저하나 심폐 소생술(CPR) 중 효과 판단에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ETCO2의 임상적 활용 예시

1. 기도 삽관 확인

- 삽관 후 지속적인 ETCO2 파형이 측정되면 기관 내 삽관이 제대로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심폐소생술 중 CPR 효과 확인

- ETCO2가 10 mmHg 이상이면 심장 압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며, 급격한 수치 상승은 자발순환회복(ROSC)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3. 진정이나 마취 중 호흡 감시

- 진정제나 마취약 사용 시 호흡 억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ETCO2 모니터링을 통해 호흡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합니다.

 

4. 기도 폐쇄나 호흡 부전 조기 발견

- 갑작스러운 ETCO2 감소는 기도 폐쇄, 호흡 정지, 튜브 이탈 등을 의심할 수 있는 신호입니다.

ETCO2 파형 분석과 간호사의 역할

ETCO2는 수치뿐 아니라 파형 분석이 매우 중요합니다. 파형은 정상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를 보이며, 다음과 같은 이상 소견이 발견될 수 있습니다

. - 파형이 점점 작아짐: 호흡기 억제 또는 저환기 진행 중

- 갑작스러운 파형 소실: 기도 폐쇄, 튜브 탈착, 심정지 가능성

- 급격한 파형 증가: 재호흡, 튜브 막힘, 대사성 산증 가능성

간호사는 ETCO2 수치와 파형을 함께 관찰하며, 이상 변화가 감지되면 즉시 의료진에게 보고하고 산소 공급 상태, 기도 유지 여부, 환자의 의식 상태를 점검해야 합니다.

ETCO2는 단순한 호흡 지표를 넘어, 환자의 생리적 상태와 중재 효과를 즉각적으로 반영하는 중요한 생체 신호입니다. 수술실, 응급상황, 중환자실에서 정확한 측정과 해석이 필수이며, 간호사 역시 파형 변화와 수치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야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