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욕창 단계별 간호, 예방과 소독 완전정리

by 우당탕천백이 2025. 6. 10.
반응형

a photo of a bedsore

 

욕창은 장기 침상, 움직임 제한, 만성질환 등으로 피부와 조직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져 발생하는 만성 상처입니다. 신규간호사는 욕창의 단계별 특징, 예방 전략(체위변경, 피부·습기·영양 관리), 단계별 드레싱과 소독, 환자·보호자 교육까지 반드시 숙지해야 하며, 실무에서 적극적으로 적용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욕창의 단계별 간호, 예방과 소독의 핵심 실무, 임상 적용 팁까지 체계적으로 안내합니다.

욕창, 왜 단계별 간호와 예방·소독이 중요한가?

욕창(pressure ulcer, pressure injury)은 지속적인 압력, 마찰, 전단력 등으로 피부와 피하조직, 근육, 심하면 뼈까지 괴사와 손상이 진행되는 만성 상처입니다. 욕창은 주로 노인, 만성질환자, 의식저하, 마비, 장기 침상 환자, 영양불량, 실금 환자 등에서 발생 위험이 높으며, 꼬리뼈(천골), 엉덩이, 발꿈치, 견갑골, 귀, 발목 등 압력이 집중되는 부위에 잘 생깁니다. 한 번 발생하면 치유가 어렵고, 감염, 패혈증, 통증, 삶의 질 저하, 입원 기간 연장 등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욕창은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조기 발견과 단계별 간호, 올바른 소독과 드레싱이 환자 예후와 안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신규간호사는 욕창의 단계별 특징, 위험 사정, 예방 간호, 단계별 드레싱과 소독, 환자·보호자 교육까지 실무에서 반드시 실천해야 하며, 반복 학습과 경험을 통해 욕창 관리 역량을 키워야 합니다.

 

욕창 단계별 간호, 예방과 소독 실무

1. 욕창 단계별 특징과 간호
1단계: 피부 발적(압력 제거 후에도 돌아오지 않음), 피부손상 없음, 따뜻하고 단단함.
간호: 압력 완화(체위변경, 공기매트리스), 피부 청결·보습, 투명필름 드레싱, 피부 보호제 사용, 2시간마다 자세 변경, 위험 부위 매일 관찰.
2단계: 표피·진피 손상, 수포·얕은 궤양, 분비물·통증 동반.

간호: 1단계 간호 계속, 생리식염수나 상처세척제로 드레싱 교환 시 세척, 삼출물 적으면 하이드로콜로이드, 중등도~다량이면 폼드레싱, 감염·악취·치유 지연 시 상처전문간호사 의뢰.

3단계: 피하지방까지 손상, 깊은 궤양, 괴사조직, 삼출물, 감염 가능.

간호: 2단계 간호 계속, 괴사조직 있으면 의사 지시 따라 제거(외과적·효소적·습윤 등), 삼출물 많으면 폼·알지네이트 드레싱, 감염·악취·발열 시 항생제, 상처전문간호사·외과 협진.

4단계: 근육, 뼈, 건, 관절 등 심부조직까지 손상, 심한 괴사, 감염 위험 매우 높음.

간호: 3단계 간호 계속, 광범위 괴사·감염 시 외과적 절제, 항생제, 통증·영양·수분·전해질 관리, 드레싱(알지네이트, 하이드로겔, 습윤드레싱 등), 다학제 협진.

 

2. 욕창 예방 간호 2시간마다 체위변경, 공기매트리스·쿠션·오프로드 기구 활용, 피부 청결·건조 유지, 실금·땀·배설물 즉시 제거, 피부 보호제·보습제 사용, 충분한 영양·수분 공급, 마찰·전단력 최소화(시트 주름 제거, 리프팅 보조기구 사용), 위험 부위 매일 관찰, 환자·보호자 교육.

 

3. 욕창 소독과 드레싱 세척: 생리식염수나 증류수로 기본 세척, 감염·오염 시 계면활성제·항균제 포함 세척액 사용 고려.

포비돈 요오드: 감염 위험 시 상처 주변부에만 제한적으로 사용, 건강한 조직 자극 주의.

드레싱: 단계·삼출물 양상에 따라 투명필름, 하이드로콜로이드, 폼, 알지네이트, 하이드로겔, 습윤드레싱 등 선택.

감염·괴사 시: 의사 지시 따라 괴사조직 제거, 항생제, 상처전문간호사·외과 협진.

드레싱 교환: 감염·삼출 많으면 자주, 초기·건조·치유 진행 시 간격 늘림, 무균술·손위생 필수.

 

4. 환자·보호자 교육 체위변경, 피부·습기·영양 관리, 드레싱·소독법, 이상 증상(발적, 통증, 악취, 발열 등) 즉시 알릴 것, 실금·이동·영양 등 맞춤 교육, 심리적 지지.

 

욕창 단계별 간호와 예방, 신규간호사의 실무 역량

욕창은 예방이 최선이며, 단계별 간호와 올바른 소독·드레싱이 환자 안전과 예후에 결정적입니다. 신규간호사는 욕창 단계별 특징, 예방 간호, 드레싱과 소독법, 환자·보호자 교육까지 통합적으로 실천해야 하며, 반복 학습과 실무 경험을 통해 욕창 관리 역량을 키워야 합니다. 욕창 간호의 실무 포인트를 숙지하고, 환자 안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적극적으로 실천한다면, 신규간호사도 자신감 있게 전문성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