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ction(흡인)은 기도 내 분비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해 환자의 기도 개방성을 유지하는 필수 간호술기입니다. 신규간호사는 suction의 적응증, 준비물, 표준 절차, 합병증 예방, 환자 모니터링, 부작용 발생 시 대처법까지 반드시 숙지해야 하며, 안전하고 효과적인 흡인 간호를 실천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suction의 기본 이론과 실제 임상 적용법, 최신 가이드라인에 따른 안전수칙을 체계적으로 안내합니다.
Suction(흡인) 간호, 왜 정확한 실무가 중요한가?
Suction(흡인)은 환자의 기도 내에 고인 분비물, 점액, 혈액, 이물질 등을 제거해 기도 개방성과 산소 공급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간호술기입니다. 특히 의식저하, 기침 반사 저하, 인공기도(기관내관, 기관절개관) 환자, 호흡기 질환, 분비물 증가 환자에서 suction은 생명 유지와 직결됩니다. 하지만 suction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잘못 시행하면 저산소증, 점막 손상, 감염, 부정맥, 폐렴, 무기폐, 기흉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2][4]. 신규간호사는 suction의 적응증(분비물로 인한 기도 폐쇄, 호흡음 변화, 산소포화도 저하, 인공기도 관리 등), 시행 전 환자 평가, 준비물(흡인기, 멸균 카테터, 산소, 장갑, 보호구 등), 표준 절차, 합병증 예방, 환자 상태 모니터링, 부작용 발생 시 대처법을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suction은 환자에게 불안과 통증, 불편감을 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시행 전 설명과 동의, 시행 중 환자 안위와 활력징후 모니터링, 시행 후 회복과 위로가 필요합니다. 최신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suction은 최소한의 횟수로, 짧은 시간(10초 이내), 적정 음압(성인 -150~-200mmHg 이하), 멸균술 준수, 적절한 산소 공급과 모니터링이 필수입니다[1][2][4][5]. suction은 환자 안전과 직결되는 고위험 간호술기이므로, 신규간호사는 실무 매뉴얼과 병동 지침을 반복 숙지하고, 실습과 피드백을 통해 숙련도를 높여야 합니다.
Suction 적응증, 준비, 표준 절차와 합병증 예방
1. Suction 적응증
- 분비물로 인한 기도 폐쇄, 호흡음 변화(거품, 거친 호흡음, 가래음), 산소포화도(SpO₂) 저하, 호흡곤란, 인공기도 관리(기관내관, 기관절개관), 무기폐, 기침 반사 저하, 분비물 배출이 어려운 환자 등[4].
2. 준비물 및 사전 점검 멸균 흡인 카테터(환자 연령·관 직경에 맞게), 흡인기(음압 -150~-200mmHg 이하), 멸균 장갑, 보호구(마스크, 고글, 가운), 산소(필요시), 멸균 생리식염수(카테터 세척용), 폐기물통. 환자 신분·의식·호흡·산소포화도·활력징후 사정, suction 필요성 평가, 시행 전 설명 및 동의.
3. Suction 표준 절차 손위생, 멸균 장갑·보호구 착용, 환자 체위(반좌위 등 기도 확보에 유리한 자세), 필요시 pre-oxygenation(산소 공급) 시행. 카테터를 멸균 상태로 준비, 흡인기 연결, 카테터 삽입(기관내관/기관절개관 tip까지만, 저항 느끼면 더 이상 삽입 금지, 흡인 중 삽입 금지). 흡인은 카테터를 천천히 빼면서 흡인 포트(엄지로 막기)로 5~10초 이내(최대 10초), 회전 불필요, 1회 시행 후 산소 공급 및 환자 회복 시간 제공, 필요시 2~3회 반복(최대 3회 이내). 분비물 양상(색, 점도, 냄새, 혈액 등) 관찰, 활력징후·산소포화도·환자 반응 모니터링, suction 후 카테터는 멸균 생리식염수로 세척. suction 종료 후 환자 산소공급 재개, 활력징후·호흡·의식상태 재평가, 시행 내용과 반응 간호기록.
4. 합병증 및 부작용 예방 저산소증 예방: suction 전후 산소 공급, suction 시간 최소화, 필요시 pre-oxygenation. 점막 손상·출혈 예방: 적정 음압(성인 -150~-200mmHg 이하), 부드러운 삽입·제거, 과도한 반복 금지. 감염 예방: 멸균술, 손위생, 1회용 카테터 사용, 장갑·보호구 착용, 장비 세척. 부정맥·저혈압·무기폐·기흉 등: 활력징후 모니터링, 이상 시 즉시 suction 중단·의사 보고. 환자 불안·통증 완화: 시행 전 설명, 시행 중 안위 확인, 필요시 진정제·진통제 사용.
Suction 실무 포인트와 신규간호사 실전 팁
Suction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환자 생명과 직결되는 고위험 간호술기입니다. 신규간호사는 suction 적응증, 준비, 표준 절차, 합병증 예방, 환자 모니터링, 기록까지 전 과정을 꼼꼼히 숙지하고, 실습과 피드백을 통해 숙련도를 높여야 합니다. suction 전에는 반드시 환자 평가와 설명, 산소 준비, 멸균 준비물을 확인하고, 시행 중에는 음압, 시간, 횟수, 환자 반응을 지속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suction 후에는 산소공급, 활력징후·호흡·의식 재평가, 시행 내용 기록, 장비 정리까지 마무리해야 합니다. suction은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고, 최소한의 횟수로, 표준 절차에 따라 안전하게 시행해야 하며, 부작용 발생 시 신속히 중단·보고·응급조치가 필요합니다. 반복 학습과 실무 경험을 통해 suction 실력을 키우면, 신규간호사도 자신감 있게 환자 안전을 지키는 간호를 실천할 수 있습니다.